linux 3

kick start 를 사용해서 linux 설치하기

리눅스를 설치하다 보면 매번 USB를 굽고, 설치를 하고 repo를 설정하고 방화벽을 끄고 여러 파일의 설정을 하는 등 반복되는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이미 설정한 값 그대로 OS를 다시 설치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곤 합니다.  Kickstart 란?Red Hat 에서 개발한 Linux 자동 설치 도구입니다. 설치에 필요한 설정(언어, 시간대, 파티션 등)을 미리 구성 파일에 정의하여 설치 과정을 자동화 할 수 있습니다. 지금 부터 그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1. 설치 미디어 준비rhel 9.4를 기준으로 진행하겠습니다. 먼저 설치 미디어 iso 파일을 준비한 뒤 rufus 파일을 이용해 설치용 USB를 만들어 줍니다. 2. 설정 파일 수정세팅하고자 하는 값들을 미리 넣어둘 파일..

linux 2025.01.15

[Linux] configure and secureSSH

hardware에 접근하기 위해 kernel이 존재하고 user가 kernel에 직접 명령을 내리기 위해 shell을 사용한다.corn shell, cshell zbash, bash등 shell의 종류는 다양하며 각 쉘마다 장단점과 특징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기본적으로 설치되어있는 shell은 bash shell이다. ssh를 사용하려면 ssh를 먼저 설치해야 한다. ssh 서비스를 실행시키면 sshd 라는 이름으로 데몬이 실행되며 이 데몬이 ssh에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ssh 키를 통해 서버를 연결하는 방법은 간단하다.1. ssh  설치확인 후 미설치시 설치 진행 yum list | grep ssh 미설치 시 yum install openssh-server openssh-clients..

linux 2023.06.26

[Linux] systemctl 명령어

linux에서 service를 조작하는 방법에는 어떤게 있을까요?먼저 linux에서 프로그램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linux에서는 여러가지 프로그램들이 돌아갑니다. 그것들을 service 라고 말하며 대부분 daemon 형태입니다.(daemon이란 한번 수행되고 끝나는 service가 아닌 background 에서 지속적으로 돌아가는 service를 의미합니다.) 이런 daemon들을 관리하는 daemon또한 존재했고 처음에는 init이란 daemon이 이 역할을 수행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기능이 추가된 systemd가 이 역할을 대신하게 되었습니다. (systemd 의 d가 daemon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 systemd를 컨트롤하는 명령어가 systemctl 입니다. 즉 우리는 s..

linux 2023.04.07